일상

사기를 당하다 -2- (알면서 당한다.)

서구서구 2024. 6. 16. 01:00
728x90
반응형

흔히 보이스 피싱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화로 검찰이다 은행이다라며 전화가 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번에 알게 된거지만 보이스 피싱이라는 것이 범위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보이스 피싱의 종류

  1. 가족납치위장방식 : 가족이 납치를 당한 것처럼 가장하는 수법.
  2. 계좌도용방식 : 계좌가 도용되었다고 속여, 사기범들의 계좌로 돈을 이체시키는 수법.
  3. 대출빙자방식 : 싼 이자로 대출이 가능하다는 핑계로, 수수료를 먼저 보내라는 수법.
  4. 합의금요구방식 : 아드님(따님)이 교통사고를 냈다는 핑계로, 합의금을 요구하는 수법.
  5. 가족, 지인 사칭형 : 휴대 전화의 액정이 깨졌다면서, 일방적으로 수리비를 보내달라거나, 내가 지금 해외여행 중인데, 여비가 떨어졌다거나, 또는 여비를 도둑맞았다면서 여비를 보내달라는 수법을 사용하여 돈을 가로채는 수법.
  6. 공공기관사칭방식 : 국세청, 한국전력,국민연금공단 법원, 경찰, 은행, 심지어는 보험사, 도시가스 회사 등을 사칭하여 세금 환급, 요금 미납, 신용카드 대금 연체 등을 핑계로 은행 자금이체 유도(이를테면 00은행의 현금카드에서 돈이 인출되었습니다).
  7. 개인정보수집형 : 우편물 미수령, 법원 출석 요구 따위를 핑계로, 허위사실이 녹음된 ARS로 전송함으로써 송금을 유도하거나 개인정보, 금융정보 따위를 수집.
  8. 메신저 피싱방식 : 메신저를 이용한 피싱. 타인의 메신저 아이디를 도용하여 로그인한 뒤 등록된 지인에게 메시지라든가, 개인정보를 보내 금전을 요구하여 돈을 뜯어내는 수법을 의미하는데, 비대면이라 상대적으로 피해를 막기가 어려우며, 검거도 어려운 실정이다.
  9. 입학금 청구방식 : 대학에 합격 했다면서, 입학금을 요구하는 수법.

제가 당한 사기는 보이스 피싱에서 더 나아간 신종 사기로 분류되는

요즘 재테크 사기라는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 어떻게 사기를 당했는지 적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